전체 글83 예비 개발자의 2022년 회고 (싸피와 우테코를 중심으로) 2022 회고를 2023년 1월 17일에 쓰는 내가 ㄹㅈㄷ...라고 생각하지만 일단 계속 미뤄놨던 글감이기도 하고 꼭 1년 회고를 쓰고 싶었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적어본다. 나의 2022년 키워드를 뽑아보자면 단연 우테코와 싸피라고 생각한다. 역시... 지금 1년 회고를 적으면서 상반기 하반기 회고도 적어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2022년 상반기에는 뭘 했는지 기억이 안나고^^ (아마 아파서 누워있었을거 같다) 우테코도 싸피도 모두 2022년 하반기에 일어난 일이다. 애초에 프로그래밍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 자체가 하반기이다. 깃허브 잔디를 보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잔디 너무 민망 심었다고 하기도 뭐 한 잔디. 이거로 진짜 잔디 심었으면 다 말라죽었을듯...) 무튼 대력 8월부터 c부터 시작해서 자바.. 2023. 1. 17. [우아한 테크코스] 비전공자의 우테코 프리코스 불합 회고 뒤늦게 써보는 회고이지만 결국 불합했다. 그런데 떨어졌다는 메일을 받고 나서 합격했다는 분들 코드를 보니 왜 떨어졌는지를 알 수 있었다. 솔직히 나의 역량이 너무 부족했다. 내가 예상하던 2차 합격생 선발 방식은 우선 1차 올솔한 사람을 한 번 거르고 거기에서 코드랑 썼던 회고를 기준으로 다시 거르는 것이었다. 일단 나는 올솔 했기 때문에 그 거름망 안에는 들어갈 수 있지 않았을까... 했지만 결과는 광탈^^ 그 후에 합격하신 분들 코드를 봤는데 그 중 내가 아시는 분은 이미 취직할 정도의 실력을 갖고 계셨다. 독학으로 스프링을 사용해서 개인 프로젝트를 만들 정도의 실력을 가진 분이신데 나는 이제 시작하는 입장에서 결과가 같길 바라는건... 아닌거 같아 깔끔하게 포기할 수 있게 된 거 같다. 그래도 뭔가.. 2023. 1. 17. [Java] 해시함수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테이블 사이즈를 소수, 홀수로 만들어야 하는 이유 해시함수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크기를 홀수로 만들거나, 소수로 설정하거나, 크기 자체를 늘리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런데 강의 해주시는 교수님은 왜 충돌이 발생하는지 설명만 하고 왜 테이블 크기를 늘려야 하는건지는 설명해주지 않으셨다. 그래서 쓰는 글. 해시함수는 key값에서 정수값을 계산하는데 이 때 해시 테이블의 길이를 벗어나지 않기 위해서 테이블 길이로 해시함수의 리턴값을 모듈러(%-나머지값) 연산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테이블의 크기가 6이고 특정 해시 함수를 사용했을 때 2의 배수를 반환한다면 2, 4, 6, 8, 10 … 가 해시함수에서 반환되는데 이를 해시 테이블 사이즈에 맞게 조정(모듈러 사용)하면 2(2%6), 4(4%6), 0(6%6), 2(8%6), 4(10%4) … 로 변.. 2022. 12. 8. 이전 1 2 3 4 5 6 7 8 ··· 28 다음 mo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