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3 1분기(1월~3월) 개발 회고 - SSAFY와 컨퍼런스를 중심으로 이번 1분기는 내가 사는건지 일정이 나를 살게 하는건지 모르게 바쁘게 지냈다. 크게 5가지 일이 있었다. 자료구조 스터디 OPIC 취득 ddd 컨퍼런스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어지럼증 Maker-H/GroupStudy_Algo_Log: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스터디를 위한 기록보관소 (github.com) GitHub - Maker-H/GroupStudy_Algo_Log: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스터디를 위한 기록보관소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스터디를 위한 기록보관소. Contribute to Maker-H/GroupStudy_Algo_Lo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자료구조 코드 구현을 해보고 관련된 문제들을 풀어보고 싶었는데 아니 왜 파이.. 2023. 4. 4. 내가 헷갈려서 쓰는 vmware 우분투에서 NAT 사용해서 포트포워딩 하는 법 (aka. apache, ssh) bridge를 활용해서 ssh를 사용하려고 하면 기본 포트로 바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 nat로 접속하는 법이 검색해도 잘 나오지 않아서 내가 써본다. 우선 네트워크를 nat으로 구성했을 때 ssh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포워딩 방법! nat는 vmware에 깔려 있는 우분투가 vmware가 설치되어 있는 기기의 Ip를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나의 경우 맥 위에 vmware을 깔았다. 앞으로는 호스트 머신이라고 지칭하겠음) 그래서 nat을 이용하면 호스트 머신의 ip와 포트를 이용해야하는데 이 부분을 설정해주는걸 포트포워딩이라고 이해하면 될 거 같다. 호스트머신의 ip : 호스트머신의 특정 포트를 사용하면 vmware 안에 있는 우분투 ip: 우분투의 특정 포트로 연결하겠다!! 를 설정하는.. 2023. 3. 5. 맥에서 가상머신 우분투로 ssh 연결 안될 때, operation timed out 뜰때 아... 또 저의 평범한 삽질기가 돌아왔습니다. 항상 딱 포기하기 직전에 해결되네요. 맥에서 우분투로 ssh 연결하려는데 안되거나 operation timed out 뜨시는 분들은 아래의 사항을 확인해보세요 1. 우분투의 ip (우분투에서는 ip addr 사용하여 확인, 맥에서도 ping ip로 확인 한 번 해준다) 2. 우분투 설정에 들어가서 계정 이름 정확한지 확인 3. 네트워크 설정이 bridged로 잡혀있는지 확인 (nat이면 포트포워딩 해줘야 합니다) (4. ssh의 config 파일에서 port 번호 건드린적이 없다면) 5. 마지막으로 방화벽 확인!!!!!!!으아아아아아아ㅏ아 나는 왜인지 모르겠지만 이전에 우분투에서 이거저거 만지다가 ufw를 enable 해버린거 같다. 그리고 이게 접속이 안.. 2023. 3. 5. 이전 1 2 3 4 5 ··· 28 다음 반응형